728x90
어제 한 게 여기까지 였었지.
어제 글을 찾아보니 여기서 I want to learn about AWS Budgets을 선택하겠다고 적어놨었더라고.
https://docs.aws.amazon.com/cost-management/latest/userguide/budgets-managing-costs.html
Managing your costs with AWS Budgets - AWS Cost Management
There can be a delay between when you incur a charge and when you receive a notification from AWS Budgets for the charge. This is due to a delay between when an AWS resource is used and when that resource usage is billed. You might incur additional costs o
docs.aws.amazon.com
링크는 여기로 연결되는 것이었고.
이제 해당 화면을 보자고.
AWS 예산 기능을 사용하면, AWS 비용과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는 얘기이고.
- 월간 예산을 정해진 가격으로 셋팅할 수 있고.
- 변수 기준으로 월간 예산을 5퍼센트씩 달 바뀔 때마다 올리게 셋팅할 수도 있고.
- 정해진 사용량을 월간 예산으로 셋팅할 수도 있네.
- 내가 알기로는 AWS 자원이 그 때 그 때 가격이 다른 걸로 알고 있어서, (무슨 경매처럼 말임) 아마 그 때 그때 가격이 달라질 수 있겠군. 같은 생각은 듦.
- 일간 사용량과 가능 예산?(번역이 이게 맞는지 몰겠는데 찾아보면 또 흥미를 잃을거 같아서 일단 뭉개고 간다.)을 RI와 Savings Plan에 추적해서 알아서 셋팅 할 수 있기도 하는군.
- 이 때는 RI 값과 Savings Plan 값을 사용자가 셋팅해놔야겠지.
그 밑에 문단은 내가 쓸 수 있는 예산 종류들 혹은 기능들 목록이구나
- Cost budgets 비용 예산
- 1개 서비스 당 얼마 쓸 수 있는지
- Usage budgets 사용 예산
- 1개 혹은 여러 개 서비스를 얼마나 사용하고자 하는지
- RI utilization budgets (Reserved Instance Utilization Budgets)
- utilization을 정확히 뭐로 해석할지 애매하군.
- 가동율 아니면 이용율로 해석하면 맞겠군.
- RI는 뭐지? Reserved Instance 이군. 예약 인스턴스 이고. 할인 서비스. ㅇㅋ
- AWS 리전의 모든 가용영역에 걸친 사용량에 적용하거나, 예약 인스턴스를 특정 가용 영역에 지정하는 경우 어쩌고 저쩌고 설명이 있군.
- 그래서 이건 알람을 특이하게 주네.
- 가동율이 조건 보다 떨어지면 알림을 주는 시스템이군;
- 사실상 사내 인프라 시스템처럼 쓸 수 있다 뭐 그런건가보네.
- 한마디로 미리 내가 클라우드에 특정 영역을 선점해서 구매했고, 그 비용을 냈다. 그런데 내가 막상 쓸 때 그걸 충분히 이용하지 않으면, 그것에 대해서 왜 안쓰냐, 이거 너 예산보다 모자르ㅔㄱ 쓰는데? 몇 개 다시 팔래? 이런 느낌인가보군...
- RI coverage budgets
- 예약 인스턴스 적용범위 예산?
어쨋든 그말 아니냐
비용 기준으로 정할래, 사용량 기준으로 정할래, 아니면 비용 고무줄 비스무리하게 할래? 아니면 우리에게 맡겨볼래?
이런 느낌같은 느낌이군.
'저도공부를하긴한답니다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슬슬 너무 질질 끌어서 짜증나는데 EC2 생성으로 바로 넘어갔는데 프리티어라서 아니 (0) | 2025.02.12 |
---|---|
[TIL] 슬슬 너무 질질 끌어서 짜증나는데 EC2 생성으로 바로 넘어간다. (0) | 2025.02.12 |
[TIL] AWS 프리티어로 학습환경 구성 어쩌고저쩌고 속편 (1) | 2025.02.10 |
[TIL] 일단 AWS 프리티어로 학습 환경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(1) | 2025.02.10 |
[TIL] 코테(코딩테스트) 에서 잘 나오는 무언가 (0) | 2025.02.09 |